갈(楬)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악에서 음악의 그침[樂止]을 알리는 기능을 했던 무율 타악기.
고려 시대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대성아악과 함께 유입되어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악을 연주할 때 음악의 그침을 알리는 기능을 했던 타악기이다. 음악의 시작 신호를 주는 축(柷)과 함께 짝으로 편성된다. 현재 《종묘제례악》,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어는 한반도에 고려 시대부터 등장한다. 1116년(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이 들어올 때 포함되어 있었다.
○ 역사적 변천과 전승
고려시대에 유입된 직후부터 제례악을 연주할 때 멈춤을 알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악기로 자리하였다. 따라서 만물의 그침을 나타내는 가을에 해당하는 방향인 서쪽에 두어 자연과 조화를 꾀하였다. 또한 어가 댓돌 위 당상에 배치할 때는 갈이라는 명칭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는데, 어를 연주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음차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제례악뿐 아니라 연향악을 연주할 때에도 쓰였으며, 그러한 전통은 대한제국 시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인해 궁중 의례가 축소되었다가, 오늘날 《종묘제례악》ㆍ《사직제례악》ㆍ《문묘제례악》 등에 편성되고 있다.
○ 구조와 형태 나무호랑이ㆍ채ㆍ받침대로 구성된다. 나무호랑이는 피나무를 재료로 쓰며 흰색 칠을 한다. 이는 동쪽에 배치되어 음악을 시작할 때 치는 축에 푸른색을 칠하는 것과 대비된다. 길이는 96cm, 높이는 37cm 가량 된다. 나무호랑이의 등에 붙이는 스물일곱 개의 톱니[齟齬]는 길이가 68cm, 높이가 1.5-2cm 정도이다. 받침대도 피나무로 만들며 면적은 대략 94cm×38cm이다. 채는 대나무로 만들며 손으로 잡는 반대편 끝이 세 부분으로 갈라져 있고 그 끝부분이 다시 세 조각씩 나누어져 있다. ○ 연주 방법 및 기법 나무호랑이의 머리를 연주자의 왼쪽으로 향하게 한 후 서서 대나무채를 잡고 허리를 약간 숙여 나무호랑이의 머리를 먼저 세 번 친 후 등에 부착된 나무 톱니를 꼬리 방향으로 훑어 내리는 방식으로 연주한다. 박ㆍ특경ㆍ절고 등 합주를 그치게 하는 여러 타악기와 조화를 이루며 질서 있게 진행한다. ○ 연주악곡 《종묘제례악》ㆍ《사직제례악》ㆍ《문묘제례악》 ○ 제작 및 관리 방법 나무호랑이와 받침대를 피나무로 규격에 맞게 나무를 가공하여 만든 후 색을 칠한다. 단단한 나무로 톱니를 제작하여 나무호랑이의 등에 붙인다.
어는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음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를 지닌다. 연주법이나 음향은 단순하나 궁중음악을 합주할 때 연주가 멈추는 시점을 지시한다는 측면에서 일종의 지휘자 같은 위상과 의미가 있다.
『고려사』「악지」 『고종임인진연의궤』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사직서의궤』 『순조기축진찬의궤』 『악학궤범』 『이왕가악기』 『조선아악기사진첩 건』 『종묘의궤』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송혜진 글ㆍ강운구 사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정희, 『궁궐의 음악문화』, 민속원, 202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