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기 중 관악기의 연주나 성악곡 연주에서 음을 떨어 표현하는 소리.
떨어서 음을 장식하는 표현은 대금, 피리, 단소 등과 같은 관악기와 성악곡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성은 궁중음악, 풍류방음악, 산조와 같은 민간음악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같은 정악계열 악곡이라 하더라도 궁중음악의 전통을 이어받은 경우는 절제된 요성을 사용하며 민간 풍류방음악의 경우에는 보다 자유롭게 요성을 사용한다. 산조, 시나위 등 민속음악의 경우는 조에 따라서 요성하는 음, 떠는 폭이 다르다.
요성을 하게 되는 음의 시가가 2박 이상일 경우에는 정악의 경우에는 2박째에 농현하지만 민속음악의 경우는 처음부터 농현을 한다. 또한 같은 장르의 악곡이라 하더라도 곡에 따라서 요성의 분위기를 다르게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가곡 중에서도 〈언롱〉의 경우는 〈초수대엽〉 등과 다르게 흥청거리며 폭넓은 요성을 사용한다.
관악기의 연주와 성악곡의 연주에서 요성은 음악의 장르, 선법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전승 과정 등에 따라서 개인 연주자별로 요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한국음악의 특성을 표현하고 각 개인 음악가의 개성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음악적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