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성악곡 가운데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내용이나 표현이 담긴 노래
재담소리는 고대 신앙인 무의식 가운데 공동체의 참여와 흥미를 위한 놀이적 요소에서 발전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의 <산신놀이>, <영감놀이>, 서울굿의 <맹인놀이>, 동해안의 <거리굿>, 황해도와 경기도·동해안 등지의 <중놀이>, 황해도의 <사냥굿>, <영산할먐 할아뱜 거리> 등에는 재담소리의 근원으로 볼만한 다양한 기능과 특징이 있다. 서도의 <배뱅이굿>과 <장대장네굿>, 서울의 <장대장타령> 등은 이러한 굿놀이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으로 이해된다. 남도 판소리 역시 초기에는 재담소리의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재담소리의 영역
재담소리는 전문예능인들이 담당해 온 공연예술 가운데 노래나 악기 연주와 같은 음악적 기량뿐만 아니라 세태를 파악하는 재치와 기지는 물론 청중을 매료시키는 능란한 말솜씨까지 요구되는 부문을 가리킨다. 줄타기, 땅재주, 가면극, 판소리, 잡가, 굿놀이 등 재담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공연예술에서도 특히 성악의 특징이 돋보이는 굿놀이, 판소리, 잡가 등을 좁혀 이르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재담’과 ‘재담소리’를 특별히 구별하는 개념이 없었으나 음악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의도에서 재담소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재담소리의 유형
재담소리의 유형을 재담말형, 흉내내기형, 서사형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이 가운데 서사형 재담소리를 극놀이적 방식과 서사시적 방식으로 나누기도 한다. 예를 들어 <흥보가>는 서사시적 방식의 재담소리이고 <배뱅이굿>, <장대장네굿>, <장대장타령> 등은 극놀이적 방식의 재담소리로 보는 시각이다. 이와 달리 음악의 갈래에 따라 '판소리형', '굿놀이형', '잡가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흥보가>, <배뱅이굿> 등은 판소리형으로 연행되는 재담소리이고, <장대장타령>, <병신재담> 등은 굿놀이 형태이며, <사설난봉가>, <개타령>, <영감타령> 등은 잡가형에 속한다.
○ 재담소리의 전통
토착 신앙이었던 굿과 경(經)은 재담소리의 저변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문화적 배경으로 재담소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굿판의 익살과 해학, 맹인 독경에 대한 풍자와 조롱 등은 재담에서 즐겨 쓰인 소재이기도 하다. 재담소리는 현장성과 즉흥성을 생명으로 하므로 연행자의 능력과 공연 의도에 따라 다양한 내용과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20세기 전반 잡가, 만곡, 만요, 속요, 재담 등의 이름으로 취입된 해학적인 녹음들을 통해 재담소리의 다양한 형태와 공연 맥락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재담의 전통은 결국 흥겨운 굿놀이에 있는 것으로, 이는 20세기 새롭게 등장한 극장 무대에서 박춘재의 활약으로 크게 꽃피워졌다. 박춘재의 <개넋두리>, <장대장타령>, <장님흉내>, <병신재담>, <각색 장사치 흉내> 등은 녹음으로 남아 지금도 감상할 수 있다.
<개넋두리>는 진오귀굿을 풍자한 작품으로 사람이 아닌 죽은 개의 넋이 찾아와 넋두리를 하는 설정으로 서울지역의 굿노래가 활용된다.
박춘재의 재담소리는 박천복이 계승하였으나 이후 점점 쇠퇴하여 지금은 서울시의 무형유산으로 인정되어 계승하고 있다. 오늘날 서울의 재담소리는 일인이 주도해왔던 전통에서 배역을 나누어 무대극으로 꾸며 공연하고 있다.
재담소리는 전통사회에서 굿놀이의 형태로 오랫동안 서민들에게 연극적 볼거리를 제공해 왔다. 굿놀이가 가진 포용성과 개방성, 현장성은 다양한 공연예술 장르와 교섭하며 전통음악의 여러 부문에 영향을 주었다. 과거에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재담소리가 연행되었으나 그 대부분의 전승은 끊긴 상태다. 오늘날 서울의 무형유산으로 연행되고 있는 재담소리는 서울 경기 지역의 굿놀이의 전통을 무대 공연물로 승화한 작품으로서 의의가 있다.
서울특별시 무형유산(2008년)
김인숙, 「서도 재담 독경소리 연구」, 『한국음반학』 14, 2004. 김인숙, 「재담소리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음악적 고찰」, 『동양음악』 41, 2017. 김인숙, 「재담소리 음반고」, 『한국음반학』 27, 2017. 사진실, 「배우의 전통과 재담의 전승」, 『한국음반학』 10, 2000.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손태도,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예술사적 의의」, 『판소리연구』 25, 2008. 손태도, 「굿놀이와 재담소리」, 『한국무속학』 21, 2010.
김인숙(金仁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