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체(調體) 조격(調格) 사조체(四調體) 삼조체(三調體)
각조체격은 조선 초기에 거문고 연주의 정조(情調)에 대한 설명에서 비롯되었다. 남효온(南孝溫, 1454~1492)이 이총(李摠, ?~1504)의 거문고 연주를 듣고 각 조(調)를 언급한 「현금부(玄琴賦)」가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 시기에는 우조(羽調), 만조(慢調), 평조(平調), 계면조(界面調)의 사조(四調)를 구분했다.
우조는 장대하다. 항왕이 말을 몰고 명검을 허리에 울리며 큰 강 서쪽을 공격하니 견고한 성이 없는 듯하네. [羽調壯, 項王躍馬, 雄劍腰鳴, 大江以西, 攻無堅城.]
만조는 한가하다. 금리 선생 초당에는 낮 해가 긴데 아내가 잿불을 헤칠 때 토란과 밤 향기로운 듯하네. [慢調閒, 錦里先生, 艸堂日長, 山妻撥灰, 芋栗馨香]
평조는 조화롭다. 낙양 땅 삼월에 소자가 수레를 타고 온갖 꽃 우거진 속으로 고삐 풀고 천천히 가는 듯하네. [平調和, 洛陽三月, 邵子乘車, 百花叢裡, 按轡徐徐.]
계면조는 원통하다. 정영위가 고향을 떠났다 천년 뒤 비로소 돌아오니 즐비한 무덤 앞에 성곽만 의구하고 옛사람 사라졌네. [界面調怨, 令威去國, 千載始歸, 纍纍塚前, 物是人非.]
각조의 대표적인 정조로, 우조는 장(壯), 만조는 한(閒), 평조는 화(和), 계면조는 원(怨)을 꼽았고, 옛 인물들의 고사(古事)를 비유하여 각 정조를 설명했다. 1493년에 편찬된 『악학궤범』에도 각 곡목들을 설명할 때 평조, 우조, 계면조를 표시했다. 즉 각 악곡의 전개에서 정조 내지 풍격(風格)의 변화를 추구했던 것이다. 이후 이득윤(李得胤, 1553~1630)은 1620년에 발간한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에서 ‘사조체(四調體)’를 언급하면서, 평조, 우조, 계면조와 낙시조(樂時調)로 분류했다. 이렇게 조선 중기까지 거문고 악곡을 중심으로 정조를 논평하면서 네 가지 조(調)를 구분하여 사조체(四調體)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체(體)란 풍격이나 스타일을 말한다. 중국 문예 비평가였던 유협(劉勰, 465~521)이 문장을 평하면서 팔체(八體)를 제기한 후 체(體)는 비평 용어로 통용되었고, 조선시대에도 그러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각조의 체격(體格)에 대한 논의가 기악에서 가곡으로 확대되었고, 평조, 우조, 계면조가 ‘각조체격(各調體格)’으로 정착했다. 체격(體格)이란 체(體)가 끝까지 다다른 고유한 특색을 말한다. 즉 세 가지 조의 고유한 풍격 내지 정조를 설명하게 되었다.
가객 김천택(金天澤)이 1728년에 간행한 『청구영언(靑丘永言)』에서 우조를 34자로, 계면조를 34자로, 평조를 28자로 각 체격을 설명했다. 시조를 바탕으로 가곡창이 활발하게 불리면서 각조의 정조 내지 풍격을 시(詩)로 설명한 것이다.
이후 각조체격은 시기나 필자에 따라 그 분량은 차이가 있으나, 내용은 유사했다. 1763년에 김수장(金壽長, 1690~?)이 간행한 『해동가요(海東歌謠)』에 ‘각조체격’이란 항목으로 각 조의 체격을 설명했다.
그리고 안민영(安玟英, 1816~1885)은 1885년에 간행한 『금옥총부(金玉叢部)』에서 각조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평조 웅심화평이다. 황종이 한번 울리니 만물이 모두 봄이라. 낙양 삼월에 소자(邵子)가 수레에 올라, 백화 떨기 속에서 서서히 고삐를 당기는도다. 순임금이 남훈전(南薰殿)에 올라 오현금으로 백성들의 원망을 풀어 주는 곡조를 타니, 성률이 정대화평하다.
(平調 雄深和平, 黃鐘一動, 萬物皆春, 洛陽三月, 邵子乘車, 百花叢裡, 按轡徐徐,
舜御南薰殿上, 以五絃之琴 彈解民溫之曲, 聲律正大和平.)
우조 청장철려하다. 옥두를 깨뜨리니 부서진 조각들이 울리는 소리이라. 항왕이 말을 달리자 웅검이 허리에서 울고, 큰 강 서쪽에 쳐서 견고한 성이 없도다. 항왕이 말을 달리며 철편을 휘둘러 큰소리로 질타하자 모든 병사가 넋을 잃으니, 성률이 장려하다.
(羽調 淸壯澈勵, 玉斗撞破, 碎屑鏘鳴, 項王躍馬, 雄劒腰鳴, 大江而西, 攻無堅城.
項王躍馬, 鐵鞭橫光, 喑啞叱咤, 萬夫魂飛, 而聲律壯勵.)
계면조 애원처창하다. 충혼이 강물에 잠기니 여한이 초(楚)나라에 가득함이라. 정영위(丁令威)가 고향을 떠나 천년 만에 돌아오니, 늘어선 무덤 앞에 만물이 예스럽되 사람은 아니로다. 왕소군(王昭君)이 한나라를 떠나 호지(胡地)로 들어갈 때 흰 눈이 펄펄 날리는데 말 등에서 비파를 타니 성률이 오열처창하다.
(界面調 哀怨悽悵, 忠魂沈江, 餘恨滿楚, 令威去國, 千載始歸, 壘壘塚前, 物是人非,
王昭君辭漢往胡時, 白雪粉粉, 馬上彈琵琶, 聲律鳴咽悽悵.)
안민영이 설명한 삼조체격은 김수장이 1763년에 설명한 자수보다 많으며, 선대 가객(歌客)들의 각조에 대한 내용을 수용하면서 더 풍성해졌다. 대개 평조의 체격은 평화롭고 밝으며 담담하고 차분하고, 우조의 체격은 맑은 소리의 굳세고 씩씩하며 장대한 규모를 느낄 수 있으며, 계면조의 체격은 슬프게 원망하는 듯하며 처량하고 구슬픈 느낌으로 표현되었다.
조선 전기의 사조체나 조선 후기의 각조체격이 논의된 것은 악곡이나 가곡의 연주에서 다양한 정조의 표현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이는 연주자가 연주를 위해 표현할 정조를 제시한 것이기도 했으며, 감상자를 위해 감상의 지침을 설명한 것이기도 했다. 또 조선 후기에 시조를 바탕으로 가곡창이 풍성하게 불려지면서, 시가일도(詩歌一道)라는 인식에 따라 가사의 내용과 체격을 충분히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평조, 우조, 계면조의 각조체격을 중시했고, 이는 우리의 전통 공연예술의 창작과 비평 영역에서 다룰 수 있는 개념으로서 의의가 있다. 한편 중대엽부터 삭대엽, 후정화, 소용, 낙시조 등 가곡의 가락별 정조를 언급한 ‘가지풍도형용(歌之風度形容)’이라든가 ‘각가체용이별부동지격(各歌體容異別不同之格)’도 관련지어 논의할 필요가 있다. 20세기부터는 판소리와 산조에서도 삼조체격을 적용하여 악곡(樂曲)의 태(態)를 설명하고 있다.
김수장, 『해동가요(海東歌謠)』 김천택, 『청구영언(靑丘永言)』, 1728.
안민영 저, 김신중 역주, 『역주 금옥총부』, 박이정, 2003. 유협 저 성기옥 역, 『문심조룡』,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0. 이혜구 역,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정현석 저, 성무경 역, 『교방가요』, 보고사, 2002. 김세중, 「악조의 정조: 조선 후기 음악의 각조체격」, 『한국음악학의 지평』, 황준연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민속원, 2014. 김진희, 「이형상의『지령록』제6책에 쓰인 ‘평조 ․ 우조 ․ 계면조’의 의미」, 『동방학지』163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백대웅, 「판소리에 있어서의 "우조" "평조" "계면조"」, 『한국음악연구』8집, 한국국악학회, 1979. 이규호, 「古時調 批評攷 : 時調의 風格考察을 兼한」, 『인문과학연구』 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2.
김영희(金伶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