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전악연구소(朝鮮古典樂硏究所)
1947년 평양에서 결성된 전통음악 단체
1947년 7월 조선고전 음악유산을 계승하고 발전시킬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다. 안기옥을 소장으로 재북 국악인 김진명, 김관보 등이 참여하였으며 1950년 전쟁 중 정남희, 박동실, 조상선, 공기남, 임소향 등 국악인들의 월북 이후에는 북한의 전통음악계의 입지를 강화하는 단체가 되었다.
1945년 광복 직후 북쪽 지역에서 전통음악인들의 단체 결성과 활동 양상을 보면, 김진명, 유대복, 김관보, 홍탄실을 중심으로‘한일가무단(韓一歌舞團)’이 결성되었고 서도민요, 재담, 가야금 병창, 창극, 승무, 검무 등을 공연하는 음악활동을 했으며 무대는 주로 ‘금천대좌’와 ‘3.1극장’이었다.
또 탈춤을 비롯한 민간무용을 전수하고 있던 해주무용연구소와 봉산탈춤보존회가 있었고 함경도 청진에서는 지만수를 중심으로 예술인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그룹들을 ‘북조선음악가동맹’에서 하나로 묶은 것이 ‘조선고전악연구소’이다. 이후 국립예술극장이 설립되자 그 소속 단체로‘고전악단’ ‘협률단’ 등으로 명칭만 바꾸어 활동하다가 1952년 단체를 분리하여 ‘국립고전예술극장’으로 재창단되었다.
○ 설립 시기와 목적
1947년 7월 5일에 “조선고전 음악유산을 계승 발전시킬”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인민적인 요소를 가진 민요와 민속악 등 조선의 고전음악을 연구하는 연주와 학술연구가 병행된 단체이다.
○ 조직 구성과 변천
고전악연구소 소장은 나주출신 월북국악인 가야금 연주자 안기옥이다.
1948년 3월에는 창극 <춘향전>을, 8월에는 창극 <흥보전>(안기옥 작곡)을 각색·발표 하였고 소비에트 군대 환송 공연에도 참가하였다. 1949년 5월에는 창극 <박긴다리>를 안기옥과 김진명이 공동 작곡하여 발표하였다. 1948년에는 여러 단체를 통합하여 국립예술극장이 출범하였을 때에, ‘조선고전악단’, ‘협률단’ 등의 명칭이 바뀌어 가면서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안기옥 중심으로 활동했고 꾸준이 <장화홍련전>, <양반과 종> 등의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국립예술극장 소속의 ‘협률단’에 월북인사 박동실, 정남희, 조상선, 공기남, 임소향 등이 합류하게 되었다. 이어 1950년 11월에 안기옥, 임소향, 공기남이 참여한 창극 <춘향전> 공연을 올리기도 했다. 1952년에는 국립예술극장 소속이었던 ‘협률단’이 다시 분리 독립하여 독자적으로 ‘국립고전예술극장’으로 재창단되었다. 1990년 ‘90송년통일전통음악회’가 예술의 전당에서 열렸을 때, 고전악연구소에서 활동했던 사람 중 그때까지 생존해 있던 김진명, 김관보 등이 남한에 내려와 서도소리를 공연한 바 있다.
고전악연구소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북한의 민족음악계의 뿌리에 해당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심에는 안기옥, 정남희, 박동실, 조상선, 공기남, 임소향 등 남도소리의 전문가인 월북국악인이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은 북한의 음악정책의 방향에서 대중성과 현대화 논쟁에서 탁성의 남도소리를 어떻게 유지하고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를 가지고 있었다.
김수현, 「『조선음악』을 통해서 본 1950~60년대 북한의 민족음악유산 연구 양상」, 『통일인문학』 84,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2020. 배인교, 「국립민족예술단과 북한의 민족음악」, 『국악원논문집』 47, 국립국악원, 2023. 배인교, 「1950-60년대 북한 음악계의 탁성 제거 논쟁 」, 『한국음악사학보』 55, 한국음악사학회, 2015.
김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