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규일이 1926년 조선 권번에서 기생들의 가창 교재로 발행한 가집이다. 이 가집에는 여창가곡ㆍ가사ㆍ시조의 노랫말이 수록되었다. 소책자로 간편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게 제작해 항시 휴대하며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조선 권번은 1923년에 경화 권번과 대정 권번에서 탈퇴한 기생들이 하규일을 앞세워 세운 권번이다. 하규일은 이곳에서 가곡을 가르치던 중, 기생들 노래 교재의 필요성을 깨닫게 된다. 권번 창립 4년 만에 이 가집을 출판했다.
○ 서지 및 편찬 정보
『가인필휴』는 1926년 조선 권번에서 발행했다. 형태는 수첩 같은 작은 소책자였다. 제명 『가인필휴』에서 ‘가인(歌人)’은 ‘노래하는 사람’, ‘필휴(必携)’는 ‘반드시 휴대해야 함’이라는 뜻이다. 즉 노래하는 사람의 필수 휴대용 가집이란 의미이다.
○ 구성과 체재
책의 구성은 서문과 본문으로 되어 있다. 서문은 1926년 12월 하규일이 썼다. 서문에 의하며, 장악원과 교방을 통해 음악이 전래되기는 했지만 대부분 넓게 교수(敎授)되지 못하고 악원(樂員)에게만 전래됐다고 한다. 이후로 기생에게는 나라의 연례(宴禮)를 위한 노래와 춤이 전습(傳習)될 뿐 나머지는 감추어져 화류계에 전래되던 것도 끊어지게 된 것을 개탄한다. 이에 흔히 부르는 노래에서 여창만 약간 뽑아서 사람들에게 전해지길 바란다고 하였다.
본문은 가곡, 가사, 시조의 세 항목으로 되어 있다.
첫째 항목은 가곡 16개 악곡의 노랫말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노래는 모두 여창가곡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우조 〈첫치〉ㆍ〈중허리〉ㆍ〈막내는 자진한잎〉ㆍ〈존 자즌한잎〉ㆍ〈반엽〉ㆍ계면 〈첫치〉ㆍ〈중허리〉ㆍ〈막내는 자진한잎〉ㆍ〈존 자진한잎〉ㆍ〈롱가〉ㆍ〈우락〉ㆍ〈환계락〉ㆍ〈계락〉ㆍ〈편〉ㆍ〈태평가〉ㆍ〈장진주〉
둘째 항목은 8개 가사이다. 이들 가사는 십이가사 중 하규일 전창 8개 가사 목록과 일치한다. 임기준이 전한 〈수양산가〉ㆍ〈양양가〉ㆍ〈처사가〉ㆍ〈매화타령〉 4개 가사는 실리지 않았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권주가〉ㆍ〈상사별곡〉ㆍ〈춘면곡〉ㆍ〈황계타령〉ㆍ〈백구사〉ㆍ〈길군악〉ㆍ〈건곤가〉ㆍ〈어부사〉
셋째 항목은 「시조약취(時調略取)」로, 이는 시조 약간을 뽑았다는 뜻이다. 「시조약취」에는 7개 내용별 분류항에 각각 시조를 실었다. 분류항은 다음과 같다.
〈전춘(餞春)〉ㆍ〈녹음(綠陰)〉ㆍ〈추(秋)〉ㆍ〈동(冬)〉ㆍ〈권주(勸酒)〉ㆍ〈님시조〉ㆍ〈축하시조〉
『가인필휴』는 기생들이 항시 휴대하며 배워야 할 가곡ㆍ가사ㆍ시조 노랫말을 하규일이 정리한 것이다. 이 가집은 실제 조선 권번에서 사용되었다. 조선 권번 기생 김진향(金眞香, 1916~1999)의 증언에 의하면, 노래방에 들어가게 되면 제일 먼저 이 작은 가집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교재를 받았어도 노래는 전부 구전으로 외워가며 배웠기 때문에 펼쳐본 일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이때까지도 가곡, 가사, 시조의 교습은 여전히 구전심수(口傳心授)의 전통적 방법으로 이뤄졌던 것이다. 그럼에도 이 가집을 출간하게 된 것은 하규일이 본격적으로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가곡을 가르치기 시작한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하규일은 1910년대부터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와 권번을 통해 십여 년 동안 가곡을 가르쳐 왔는데, 1926년 8월부터는 이왕직아악부 촉탁에 임명된다. 이는 아악부에서는 가르치지 않는 고전 가요들을 아악부의 젊은 연주직과 아악생들에게 전수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처음으로 일반인이 아닌 전문 남성 음악인을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교수과정에서 그간 가르쳐 온 기생들이 전문 여성 음악인이라는 자각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가집 제명의 ‘가인(歌人)’에서 이런 의식이 감지된다. 아악부의 노래 교습 4개월 만에 최초의 권번 기생들을 위한 가집을 제작했다.
김진향 편, 『선가 하규일선생 약전』, 예음, 1993.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권도희, 「20세기 기생의 가무와 조직-근대기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45, 2009.
신경숙(愼慶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