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제라는 명칭은 본래 박유전의 소리를 이어받은 판소리 서편제의 일종을 지칭하는 판소리 유파를 이른다. 1940년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박유전은 전라북도 순창 출생으로 보성군 강산리에 이주하여 생활하였고 서편제의 분류가 박유전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그 유파를 박유전의 거주지를 따서 ‘강산조(岡山調)’라고 지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박유전은 대원군 앞에서 그의 장기인 새타령을 가창하였는데, 대원군이 “네가 강산 제일이다”라고 평하며 그를 총애하여 그의 소리제를 ‘강산제(江山制)’라 칭했다고도 한다.
악조 개념으로서 강산제는 순조 때의 명창 모흥갑(牟興甲)의 《춘향가》 중 〈이별가 ‘날다려가오’〉 대목의 소리제를 ‘강산제’라고 한다는 기록이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기록되어 있다.
판소리 유파로서 강산제는 박유전-이날치-정재근-정응민-정권진 등으로 이어져 오는 서편제 계통의 유파를 말한다. 오늘날 이 계보의 강산제 소리로는 《심청가》가 가장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악조로서 강산제는 모흥갑의 더늠인 《춘향가》 중 〈날다려가오〉 대목의 소리제를 이른다. 경드름과 유사하나 진경드름 또는 반경드름과는 약간 음악적 특징이 다르며, 박유전의 소리제인 ‘강산제’와 구분하기 위하여 ‘동강산제’라 이르기도 한다. 구성음은 ‘sol-la-do′-re′-mi′’의 5음이고, ‘sol-do′’의 4도 골격이 주요하게 사용되며, ‘sol’에서 ‘do′’로 4도 상행하여 ‘do′’로 종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은 판소리 평조와도 유사하다. 가야금산조에서는 강태홍류, 김죽파류, 김병호류, 최옥삼류 중모리장단에 강산제 부분이 있다. 강산제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구자에 따라 평조강산제, 강산제계면조, 평우조, 우조와 같이 조금 다르게 구분하기도 하나, 강산제로 일컬어지는 대목의 공통적인 특징은 판소리 강산제와 동일하다.
판소리: 국가무형무화재(1964) 판소리강산제(심청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1998) 판소리(심청가)(유영해):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2001) 판소리(강산제 심청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2019)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01)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출판사, 1940. 이보형, 「판소리 경드름(경조)에 관한 연구」, 『서낭당』 1, 1971. 양주희, 「가야금산조 중모리장단의 강산제 고찰: 음군론을 활용하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3.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