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본부(國樂司本部)
광복 직후 일시 결성된 국악단체(國樂團體).
국악건설본부는 광복 직후 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따른 음악인들의 결집을 통해 결성된 조선음악건설본부(朝鮮音樂建設本部) 산하의 국악단체였던 국악위원회(國樂委員會)의 명칭을 변경하면서 사용한 단체명이다.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16일 음악인을 중심으로 조선음악건설본부가 결성되었으며 산하에는 서양음악분야와 함께 국악인들로 구성된 국악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이틀 후인 8월 18일 국악위원회는 국악건설본부(당시 신문기사에는 국악사본부로 명명되기도 함)로 개칭되었으며 8월 29일에 국악회(國樂會)라는 명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가 1945년 11월 무렵 국악원(國樂院)으로 단체명이 최종 확정되었다.
○ 역사적 변천 과정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16일에는 김순남(金順男, 1917~1986)과 강장일(姜長一, ?~?)의 발의로 음악가대회가 소집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선음악건설본부가 결성되었다. 광복 직후 최초의 음악단체로 창립한 조선음악건설본부는 뒤이어 조직한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미술건설본부, 조선연극건설본부, 조선영화건설본부와 더불어 8월 18일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朝鮮文化建設中央協議會)를 발족했다.
조선음악건설본부의 산하에는 작곡부·기악부·성악부·국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국악분야에는 아악계의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와 민속악계가 두루 참여했으며 위원장 함화진(咸和鎭, 1884~1949)을 위시해 김석구(金錫九, ?~?), 김윤덕(金允德, 1918~1978), 박헌봉(朴憲鳳, 1906~1977), 성경린(成慶麟, 1911~2008), 이주환(李珠煥, 1909~1972), 장인식(張寅湜, 1908~1980), 최경식(崔景植, 1876~1949)이 조직 구성원에 이름을 올렸다. 이틀 후인 8월 18일 국악위원회는 일제강점기에 결성된 조선음악협회 산하의 조선음악부에서 이사를 역임했던 현철(玄哲, 1891~1965)과 이왕직아악부에서 임시촉탁으로 근무한 이종태(李鍾泰, 1905~?) 등 10여 명의 발기로 이왕직아악부에서 국악인 3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단체명을 국악건설본부로 개칭해 재결성하게 된다. 그러나 원칙 없이 통합만을 앞세워 광복 직후 서둘러 결성되었던 조선음악건설본부의 내부에서 좌우대립의 이념적 갈등이 표출되면서 단체는 1945년 10월 무렵 해체되어 버렸다. 이에 따라 자주적 노선을 선택하게 된 국악계는 국악건설본부를 발전적으로 해산하고 국악회의 창설을 거쳐 1945년 11월 무렵 마침내 국악원이란 명칭으로 창립하게 된다.
국악원은 민족음악의 수립이라는 기치 아래 광복 직후 여러 차례에 걸쳐 단체명을 변경해 가며 아악계의 이왕직아악부와 민속악계가 적극 동참해 결성된 국악단체였다. 국악원은 이왕직아악부의 제5대 아악사장을 역임한 위원장 함화진과 민속악계 인사인 부위원장 박헌봉을 중심으로 산하에 총무국·문화국·사업국을 신설했다. 이 중 문화국에는 아악부·정악부·창악부·속곡부·민요부·문예부·연구부를 설치하고 아악계의 장인식, 김천흥(金天興, 1909~2007), 이병성(李炳星, 1909~1960)과 민속악계의 김윤덕, 정남희(丁南希, 1905~1984), 최경식을 문화부장에 내정, 국악을 대표하는 중심단체로서의 조직체계를 구축하며 국악계의 통합에 따른 발전적인 활동상을 제시했다. 그러나 아악계와 민속악계의 상생의 시간도 잠시, 국악원의 조직운영에 대한 서로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서 아악계는 독자적인 활동을 선택하게 되었고 결국 국악원은 1946년 1월의 창립공연 이후 민속악계를 중심으로 운영하게 된다.
국악건설본부는 광복 직후 국악단체로는 처음 결성되었던 국악위원회의 후신으로 단체를 재결성하는 과정에서 아악계와 민속악계 인사 300여명을 결집하는데 기여했다. 이를 통해 이후 국악회를 거쳐 비록 잠시였지만 아악계와 민속악계의 통합의 산물이었던 국악원이 결성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주었던 국악단체였다고 하겠다.
김민수, 「해방기 국악계의 활동양상:국악원과 구왕궁아악부를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23/2, 2019. 노동은, 「해방과 분리공간의 음악사 연구 1」, 『낭만음악』 1 , 1988. 12. 노동은, 「해방과 분리공간의 음악사 연구 2」, 『낭만음악』 2, 1989. 3. 민경찬, 「해방공간기 양악계의 양상-음악 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53, 2014.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출판부, 1966. 「국악사본부설치」, 『서울신문』, 1945.8.18. 「문화, 국악원 창립」, 『신조선보』, 1945.11.9.
김민수(金珉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