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남창 언롱 이태백
이태백(李太白)의 주량(酒量)은 긔 어떠허여
일일수경(一日須傾) 삼백배(三百盃)허고
두목지(杜牧之) 풍채(風采)는 긔 어떠허여 취과양주(醉過楊州) 귤만거(橘滿車)이런고
아마도
이 둘의 풍도(風度)는 못 미츨까 하노라
02. 여창 평롱 북두칠성
북두칠성(北斗七星) 하나 둘 서이 너이 다섯 여섯 일곱 분께
민망(憫惘)한 발괄[白活] 소지(所志) 한 장(張) 아뢰나이다
그리든 임(任)을 만나 정(情)엣 말삼 채 못하여 날이 쉬 새니 글로 민망(憫惘)
밤중만
삼태성(三台星) 차사(差使) 놓아 샛별 없이 하소서
03. 남창 편락 나무도
나무도 바히 돌도 없는 메에
매게 휘쫓긴 가톨의 안과
대천(大川) 바다 한가운데 일천석(一千石) 실은 배에 노(櫓)도 잃고 닷도 끊고 용총도 걷고 치도 빠지고 바람 불어 물결치고 안개 뒤섞여 잦아진 날에 갈 길은 천리만리(千里萬里) 남고 사면(四面)이 검어 어득 저뭇 천지적막(天地寂寞) 가치놀 떴는데 수적(水賊) 만난 도사공(都沙工)의 안과
엊그제
임 여힌 나의 안이사 어따가 가를허리요
04. 남창 편수대엽 진국명산
진국명산(鎭國名山) 만장봉(萬丈峯)이
청천삭출(靑天削出) 금부용(金芙蓉)이라
거벽(巨壁)은 흘립(屹立)허여 북주삼각(北主三角)이요 기암(奇巖)은 두기(陡起)허여 남안잠두(南案蠶頭)로다 좌룡락산(左龍駱山) 우호인왕(右虎仁旺) 서색(瑞色)은 반공(蟠空) 응상귈(凝象闕)이요 숙기(淑氣)는 종영출인걸(鍾英出人傑)허니 미재(美哉)라 아동산하지고(我東山河之固)여 성대의관(聖代衣冠) 태평문물(太平文物)이 만만세지금탕(萬萬世之金湯)이로다
연풍(年豊)코
국태민안(國泰民安)허여 구추황국(九秋黃菊) 단풍절(丹楓節)에 인유이봉무(麟遊而鳳舞)커늘 면악등림(緬岳登臨)허여 취포반환(醉飽盤桓)허오면서 감격군은(感激君恩)이샷다
05. 여창 편수대엽 모란은
모란[牧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忠臣)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君子)요 행화(杏花)는 소인(小人)이라 국화(菊花)는 은일사(隱逸士)요 매화(梅花) 한사(寒士)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石竹花)는 소년이라 규화(葵花) 무당이요 해당화(海棠花)는 창녀(娼女)이로다
이 중에
이화(李花) 시객(詩客)이요 홍도(紅桃) 벽도(碧桃) 삼색도화(三色桃花)는 풍류랑(風流郞)인가 하노라
06. 남녀창 태평가 태평성대
이려도 태평성대(太平聖代)
저려도 성대(聖代)로다
요지일월(堯之日月)이요 순지건곤(舜之乾坤)이로라
우리도
태평성대(太平聖代)니 놀고 놀려 허노라